재성은 정재(正財)와 편재(偏財)가 있다.
정재는 안정적인 돈이며 내가 사용할 수 있는 고정재산으로 성실하게 일해서 번 돈이다.
편재는 돌아다니는 돈으로 내 돈도 되고 남의 돈도 되며 사업해서 크게 버는 돈, 혹은 투자하다가 크게 잃는 돈, 과시하는 돈이다.
정재의 짝꿍은 식신이나 상관 혹은 정관이나 편관이다.
정재는 식상의 능력으로 돈을 벌고 관성으로 보호되는 돈이다.
반면에 편재의 짝꿍은 모든 십성(비견, 겁재, 식신, 상관, 정재, 편재, 정관, 편관, 정인, 편인)이 다 될 수 있다.
재성은 식상이 가장 좋은 짝꿍이다.
식신과 상관은 먹고 사는 재능, 활동력, 추진력이다.
식상(食傷)이 있으면 먹고 살기 위해 몸을 움직이고 노력한다.
식상과 편재가 가까이 붙어 있으면 부지런히 일해서 돈을 번다.
사주에 재성이 많으면 재성을 빼앗아가는 겁재가 있는지 살핀다.
편재 옆에 겁재가 있으면 돈을 벌어도 내 돈이 되지 못한다.
이럴 때는 관성이 있어서 겁재를 극해야 내 돈이 된다. 겁재를 극하는 관성이 있다면 재성은 돈을 벌 수 있다.
그러나 관성이 너무 많으면 재생관(財生官)이 되어 비견인 나를 극해서 내 건강이 약해질 수 있다.
관성이 비견(나)을 극해서 심신이 아플 수도 있지만 그래도 관성이 겁재를 극해야 돈을 벌 수 있다.
이럴 경우 관성 옆에 인성이 있어서 인성이 관인상생을 하고 인성이 비겁을 도우면 좋다.
재성과 관성이 많은 사주가 비겁이 없으면 그 사주는 병에 걸리거나 세상에 적응하기 힘들다.
재성은 한 두 개가 좋다.
재성은 한 두 개의 비겁과 식상이 있어야 좋다.
식상없이 재성만으로 돈을 버는 것은 사람을 부려서 사람에게 월급을 주고 나면 내 인건비도 없는 상황이 된다.
식상없는 재성은 돈 관리를 잘해야 내 돈이 생긴다.
사람을 부리고 월급을 주면서 먹고 살려면 머리가 좋거나(인성) 기획능력(식상)이 있어야 돈이 모아진다.
인성이나 식상이 없다면 편재는 돈을 벌어도 남 좋은 일만 하고 자기 손에 돈을 쥐지 못한다.
사주에 편재가 많으면 돈 쓸 일이 많고 돈을 벌어도 나갈 곳이 많다.
편재가 네 개 이상이면 돈이 모이지 않는다.
투잡, 쓰리잡으로 프리랜서 일을 해도 돈을 벌기보다는 돈 나갈 곳이 많고 빚을 질 수 있다.
편재가 많으면 한 가지 일에서 전문가가 될 수 없다.
그래서 사주에 편재가 많으면 한 가지 분야에서 전문가가 되도록 자기 의지를 발휘하는 게 좋다.
혹은 안정적인 월급쟁이를 하는 게 좋다.
사주 월지(月支)가 편재이고 옆에 식상이 있으면 사업을 해도 되지만 식상 없는 편재는 월급쟁이가 되는 게 좋다.
편재의 두 번째 짝꿍은 정관(正官)과 편관(偏官)이다.
관성은 재성을 빼앗아가는 겁재(劫財)와 비견(比肩)을 제압하기에 재성을 보호하는 길신(吉神)이다.
비견과 겁재는 내 돈을 빌려 달라고 하고 내 돈을 빼앗아가는 사람들이다.
이런 비견과 겁재를 관성이 제압하면 돈을 빼앗기지 않을 수 있다.
비견과 겁재는 밀어붙이는 힘, 겁 없이 일을 시작하는 추진력인데 이런 과도한 시도를 관성이 적절하게 조절하면 돈 관리와 인간 관리를 잘하게 된다.
편재의 세 번째 짝꿍은 인성(印星)이다. 인성 중에서 편인이 편재와 궁합이 좋다.
인성에는 정인(正印)과 편인(偏印)이 있다. 정인은 정규학문, 공인인증서, 윗사람의 조력이다.
반면에 편인은 편법 지식, 임기응변, 꾀돌이, 눈치 빠름, 상황에 맞는 지혜로움이다.
정인이 이성적(理性的)이라면 편인은 현실적(現實的)이다.
실리적인 편인을 편재가 극(剋)하면 편인은 돈 버는 쪽으로 머리를 쓴다.
편재의 극(剋)을 받은 편인은 특허권, 연구업적의 결과물로 돈을 벌 수 있다.
인성이 많으면 게으르고 잠이 많고 무사태평인데 부지런한 편재가 들어와서 인성을 자극하면 인성은 활발하게 움직이고 그 결과로 돈을 벌 수 있다.
비겁도 편재의 짝꿍이다. 비견과 겁재는 돈을 버는 행동력, 추진력, 독립심이다.
비견과 겁재는 건강함이며 일을 열심히 하는 체력이다.
그러나 비겁이 편재에게 좋게 작용하려면 식상이 있어야 좋다.
비겁의 건강한 힘으로 식상의 활동력을 이용해서 그 결과 재성이라는 돈을 손에 쥘 수 있다.
이처럼 편재는 어느 십성과도 잘 어울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