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모스
최근 여론조사기관 한국갤럽이 ‘가을이면 생각나는 노래’를 물은 결과 1967년에 발표하여 히트한 노래 김상희의 ‘코스모스 피어있는 길’이 1위를 차지했다. 가을 하면, 코스모스를 떠올릴 만큼 가을꽃으로 생각하는 건 너무도 자연스러운 일이다. 코스모스는 역사가 있는 전설의 꽃이다. 고대 그리스신화에서 세상을 창조한 신이 세상을 더 아름답게 꾸미기 위해 꽃을 만들기로 했다. 신은 모든 솜씨를 발휘해 꽃을 만들었지만 처음 만든 꽃이 마음에 쏙 들지 않았다. 그래서 다시 이런 저런 모양으로 만들어 보고 꽃 색깔도 여러 가지로 물들여 보기도 했다. 꽃은 힘이 있는 것 보다 약해 보이는 것이 나을 거 같아 모양을 하늘하늘 거리게 만들고 꽃모양과 어울리게 분홍빛 흰빛 등으로 만들었다. 신이 처음으로 정성을 쏟아 만든 자유롭고 평화로운 모습이 코스모스였다고 한다. 또 유럽의 한 언덕에 아름다운 소녀와 병약한 아버지가 있었다. 그 언덕 근처의 산막에 나무꾼 청년이 살고 있으며 소녀와 청년은 자주 언덕 위에 앉아 이야기를 나누었다. 그런데 사냥꾼 남자가 자신을 싫어하는 여성은 없다고 멋대로 생각하고 소녀의 아버지가 돌아가심과 동시에 강제로 소녀에게 결혼을 강요했다. 소녀는 자신을 지키기 위해 한 송이의 분홍 코스모스로 바꾸었다. 그리고 나무꾼 청년은 그녀를 보호하기 위해 하얀 코스모스로 모습을 바꾸어 언덕에 활짝 피어났다. 그렇게 두 사람은 순애보를 지켜낸 전설이 있다. 꽃말은 ‘아름다움, 조화’이다.
노랑나리꽃
나리는 백합(百合)의 순수한 우리말로 장미, 국화와 함께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전 세계적으로 사랑받는 꽃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한국에 자생하는 나리를 비롯하여 향기가 없고 화색이 다양한 꽃들을 ‘나리’라 지칭하고, 백합은 오래전부터 나팔모양의 꽃이 흰색이므로 흰 백(白) 字의 백합으로 알고 불러오고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일백 백(百)’ 字로 땅속에 있는 저장양분을 보유하고 있는 알뿌리가 여러 개의 비늘잎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데서 유래한다. 백합이 한자문화권에 속하는 중국, 일본, 우리나라가 사용하는 용어인 반면, ‘나리’는 순수한 우리말이다. 나리류는 먼 옛날부터 우리나라에서 자생하고 있는 우리 꽃이었음을 여러 문헌에서 그 이름의 변천으로 찾아볼 수 있다. 고려시대 때는 ‘대각나리’, 조선시대에는 ‘견이일’이라 하였다. ‘변함없는 사랑’이 꽃말이다.
자엽안개꽃
자엽안개나무는 진한 와인색 잎이 눈길을 사로잡는 매력적인 꽃나무이다. 수명은 평균 20년 정도로 짧은 편이고, 다 자란 나무는 높이는 3~5m 정도 된다. 줄기는 자갈색이며 수많은 껍질눈이 나오고 털이 많이 나 있으며 잎은 어긋나기 한다. 5~7월에 솜사탕모양의 꽃이 개화하는데 여름에는 짙은 단풍 위에 분홍색 연기와 같은 꽃 머리가 나타나 아름다운 풍경을 자아낸다. 꽃말은 ‘희망의 내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