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름
상태바
이름
  • 기고
  • 승인 2024.05.02 13:1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학생, 군인, 그 외 제복을 입는 사람들은 대개 왼쪽 가슴에 자신의 이름인 명찰을 붙인다. 공무원들이나 회사원들은 이름이 있는 신분증을 목에 걸기도 한다. 이렇게 이름은 그 사람을 대신한다. 이름뿐이 아니라 나라, 건물, 지역 등에도 이름을 붙인다. “魏書 云 乃往二千載 有檀君王儉 入都阿斯達 開國 號朝鮮 與高同時” 일연이 지은 『삼국유사』 고조선(왕검조선)편의 첫머리에 나오는 이야기에는 “위서에 이르기를 2천 년 전에 단군왕검이 있어 아사달에 도읍을 전하고 나라를 개국하여 이름을 조선이라 하니 ‘고(高)’와 같은 시기이다”라고 했다. 그런데 옛 중국에는 ‘고’라는 나라나 임금이 없었다. 고는 요(堯)임금을 말하는데 대자(代字)의 방법으로 고려 3대 정종(定宗)의 휘(諱)가 요(堯)라 이를 피하여 쓰는 방법을 선택했기 때문이란다. 우리 선조들은 임금이나 어른들의 이름을 함부로 부르거나 쓰지(書)않았다. 꼭 써야 할 경우 피휘(避諱) 또는 기휘(忌諱)라 하여 뜻이 같은 다른 글자나 소리가 같거나 비슷한 글자로 대신하는 대자(代字)법, 글자를 쓰지 않고 비워두는 공자(空字)=결자(缺字)법, 글자의 획(劃)을 쓰지 않는 결획(缺劃)법, 아예 다른 글자로 바꾸어 버리거나 모양이나 소리까지 비슷한 글자 모두를 피하는 방법을 사용했다. 

자식으로, 아랫사람으로 부모나 윗사람의 이름을 함부로 하지 않는다는 예절의 정신이다. 이름은 귀한 것이고 몸(身)과 같이 생각했기에 특히 임금, 스승, 조상, 성인 등의 이름을 함부로 하지 않는다는 마음가짐이다. 그래서 자(字)와 호(號)를 써서 이름 대신 사용했다. 

당나라 대군을 물리친 고구려의 연개소문(淵蓋蘇文) 장군을 삼국사기와 당의 문서에는 천개소문(泉蓋蘇文)으로 기록했다. 그것은 당 고조인 이연(李淵)의 연(淵)자를 피하기 위해서였다. 또한 세종 임금 시대  류계문(柳季聞)이라는 분은 충청도관찰사를 제수 받았지만 부임을 한사코 거부 했다. 아버지의 이름이 류관(柳觀)으로 임금에게 보고서를 쓸 때마다 ‘忠淸道 觀察使(충청도관찰사) 류계문’이라 써야 하는데 차마 아버지의 이름인 관(觀)자를 쓸 수 없었기 때문이다. 이에 우의정을 지냈던 아버지는 자식을 위해 관(觀)을 관(寬)으로 개명하여 후에 아들이 부임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가정의 달이라는 이 5월에 가까운 친척과 가족들이 모여 화목의 자리를 만드는 것도 좋지만 이런 기회에 우리 조상들처럼 윗사람을 공경하는 마음을 갖는 기회가 됐으면 좋겠다. 3년 전 쯤, 지나는 길에 “부모님이 주신 이름 석 자 걸고 정직하게 판매 하겠습니다”라는 현수막을 건 타이어를 판매장을 보았다. 대단한 사람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이름을 소중히 여기는 사람은 그 어떤 것도 가볍게 여기지 않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어 그 매장에서 타이어를 교체했다.. 

가끔은 잘난체하며 대통령이나 장관 · 국회의원 혹은 지자체장의 이름을, 학생들은 선생님의 이름을 직함도 붙이지 않고 마구 부르는 모습들을 보면 씁쓸한 생각도 든다. 또한 그렇게 부름으로써 자신이 대단한 양 뻐기는 모습 또한 그리 좋아 보이지도 않는다. 

가정을 생각하는 이 5월에 가족의 화목을 위해서라도 조상들처럼 피휘(避諱)는 못해도 자신의 이름과 웃어른, 친구들의 이름을 소중히 여기는 생각을 가져 봄도 좋겠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