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권의 책] 오름 오르다/이성복 사진에세이
상태바
[한권의 책] 오름 오르다/이성복 사진에세이
  • 도복희기자
  • 승인 2018.07.19 14:4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환상의 결합
이성복 사진에세이.

“비록 고통이 아름다움을 만드는 것은 아니라 하더라도 분명한 것은 아름다움은 언제나 고통과 함께 있다는 점이다. 환상이 만들어내는 아름다움뿐 아니라 환상이 깨지는 순간의 고통 또한 아름다울 수 있으니, 고통과 아름다움은 환상의 배를 찢고 나온 일란성 쌍둥이라 할 만하다. 환상에게서 태어난 그것들은 다시 제 배로 환상을 낳기도 해서, 고통이 낳은 환상과 아름다움이 낳은 환상이 결합하여 또 다른 고통과 아름다움을 낳는 것이다. 그러니 지상의 짧은 삶에서 아름다움을 포기하지 않는 자는 결코 고통과 헤어질 수 없다”

이성복 시인의 언어다. 시인이 쓰는 에세이는 시를 닮았다. 하여 내용만 파악하는 것이 아니라 문장의 아름다움을 감상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오름 오르다’는 제주도 사진작가 고남수의 사진을 보고 이성복 시인이 쓴 사진에세이다.  시인은 언어라는 이질적 렌즈로 사진 속 풍경을 재구성해 놓는다. 언어로 찍은 사진이라고 해도 좋겠다. ‘사물 혹은 비밀이라는 빌미’, ‘끊어진 길들의 하얀 만남’, ‘키 작은 꽃들의 간헐적 불면’, ‘검은 삼나무 장벽과 사각 무덤들’, ‘꽃 핀 복숭아나무 가지의 능선’ 등 몇 개의 제목을 옮겨 놓는 것은 이 시인의 언어가 주는 맛을 느낄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서다.

화가나 음악가 혹은 작가들 곧 오직 한 길만을 오래도록 걸어온 사람들은 그들이 가지고 온 매체를 닮는다. 시인은 언어를 가지고 세상을 표현하는데 능통한 자들이다. 대한민국에서 내노라하는 시인의 언어를 관람하는 것은, 여름을 나는 좋은 방법일 수 있겠다. 그것은 아마도 갤러리에 가서 그림을 감상하는 일과 같은 느낌이 들지 않을까 “지난 여름 고비의 한 촌락에서 만난 어린 낙타의 눈도 그러했다.

길을 잘못 들어 늦게 도착한 그곳에서, 평탄하게 이어진 모래언덕을 배경으로 한 무리 낙타들이 무릎을 꿇고 거북등처럼 포개 앉아 있었다” 본 문 속의 내용이다. 사진 한 장을 보고 쓴 글의 첫머리다. 사진은 흑백의 제주 오름이었다. 시인은 그곳에서 사막에 어린 낙타의 눈을 떠오르게 한다. 전혀 별개의 것은 곧 상상이 불러낸 자유로운 환시쯤이라고 하면 되겠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