을묘 일주 비견(比肩)
상태바
을묘 일주 비견(比肩)
  • 김현희 명리학자
  • 승인 2024.06.27 10:0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을묘(乙卯) 일주 비견은 자기 인생은 자기가 책임지며 산다. 비견은 어깨에 진 짐을 책임지고 버텨낸다. 비견은 자기 힘으로 먹을거리를 구하고 자수성가한다. 비견은 남에게 피해 주지 않고, 자기 삶은 자기 힘으로 끌고 간다. 일주가 비견이면 부모의 도움 없이 자생적으로 생활하면서, 인간관계도 잘하면서 자립적으로 산다. 

비견은 건강한 체력, 혈육, 친구, 사람이다. 비견은 식상을 생(生)하고, 재성을 극(剋) 해서 돈을 벌고, 관성이 제압할 때 관성의 스트레스를 받아내고, 인성의 생을 받으면 상황과 타협하며 산다. 사주에 비견 하나쯤 있어야 먹고사는 문제나 인간관계에서 무탈하다. 그런데 비견과 겁재가 사주에 네 개 이상이면 자기만 옳다고 우기고 타인과 협력하지 못하고 타인을 지배하려고 하다가 일이나 인간관계에서 낭패 볼 수 있다. 

사주에 비겁이 네 개 이상이면 남자는 아내와 이별 수가 있고, 여자는 재물 운이 약하다. 비겁이 네 개 이상이면 타인을 배려하고 인정하는 연습을 해야 한다. 사람은 혼자 사는 게 아니라 사람과 협력하면서 무리 속에서 산다. 무리 속에 있어야 사회인으로 대접받고 살아남는다. 사주에 관성이 있어서 네 개 이상의 비겁을 제압하면 좋다. 관성은 제멋대로 날뛰는 비겁을 사회에 맞게 조절하는 사회화 기능이다. 관성의 제압을 받은 비겁은 무리에 적응하면서 무리와 화합하는 절제력을 갖게 된다. 사주의 비겁을 관성이 제압하면 조직이나 단체에서 자기 능력을 인정받고 산다.  

사주에 비겁은 두 개가 좋다. 비겁이 두 개이면 식상생재(食傷生財)를 해서 재성(돈)을 벌어들인다. 비겁은 관성이 제압할 때 자존감과 자존심을 유지하면서 건강하게 사회생활을 한다. 비겁이 두 개이면 사람들과 의견 교환도 적극적으로 활발하게 하며 자기 주체성을 잃지 않는다. 사주에 비겁이 한 개도 없으면 사람들에게 치여 자기 의견이 없고 인간관계가 힘들어 외톨이가 될 수 있다.    

을묘 일주 비견의 십이운성은 건록(建祿)이다. 건록은 돈을 버는 힘이다. 건록은 자립적으로 살며 자생 능력이 좋다. 건록은 일 열심히 하고 사람과 잘 지내며 활동 능력이 좋다. 을묘 일주 비견 건록은 자기 힘으로 세상에 맞서기도 하고 타협하기도 하는 유연성이다. 묘목의 지장간에 갑을목(甲乙木)이 있어서 갑목은 겁재로, 을목은 비견으로 작용한다. 겁재로 식상을 생하고, 관성의 스트레스를 받아내고, 비견으로 식상을 살려서 재성을 손에 쥘 수 있다. 을묘 일주 비견의 건록은 건강한 체력으로 자기 먹을거리는 충분히 해결한다. 

을묘 일주와 합이 되는 운은 경술(庚戌) 운이다. 경술 운이 오면 을묘 일주는 경을합금(庚乙合金), 묘술합화(卯戌合火)를 하기에 관성운과 식상운이 좋아져서 관성운에는 승진, 결혼, 합격 같은 일이 발생하고, 식상운에는 사업 확장, 새 일 시작, 자식운이 좋아진다. 합을 할 때는 합의 기운이 작용하고 자기 본래의 기운도 작용하는데, 합은 상황과 갈등하지 않고, 사람과 타협하는 방향으로 작용하기에 운이 좋은 쪽으로 풀린다. 

을묘 일주와 충이 되는 운은 신유(辛酉) 운과 기유(己酉) 운이다. 신유 운과 기유 운이 오면 을묘 일주는 천간으로 을신충(乙辛沖), 을기충(乙己沖), 지지로 묘유충(卯酉沖)을 하기에 몸이 아프거나 마음이 괴롭거나 사건 사고가 생길 수 있으니까 건강, 돈, 인간관계, 운전 등을 조심해야 한다. 충이 오면 한쪽이 사라지고 한쪽이 아프니까 손재수나 관재수나 구설수가 생길 수 있다. 

묘목(卯木)은 인묘진 방합, 해묘미 삼합, 묘술합화를 하면 합의 기운으로 협력해서 산다. 묘목이 자묘형(子卯刑)을 하면 살짝 힘들어도 수생목(水生木)이라서 괜찮다. 묘유충(卯酉沖)을 하면 묘목에 해당하는 간, 담, 췌장, 머리, 사지(四肢), 뼈, 관절에 문제가 생기고, 유금(酉金)에 해당하는 폐, 대장, 호흡기계, 소화기계가 병들 수 있다. 묘목이 오묘파(午卯破)를 하면 살짝 힘들어도 목생화(木生火)를 하기에 괜찮다. 묘진해(卯辰害)는 인묘진 방합으로 가기에 해로움이 없다. 묘신원진(卯申元嗔)과 묘신귀문(卯申鬼門)에서는 마음이 아프거나 우울증, 불안증에 시달릴 수 있으니 마음 관리를 잘해야 한다. 을묘 일주는 자기 뿌리가 있어서 어디를 가도 살아남는 생명력이 강하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